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외교학전공

MENU

교과목안내

교과목 번호 교과목명 교과목내용
200.104 국제정치학개론 본 수업에서는 국제관계의 양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왔으며 21세기를 맞아 어떠한 변화의 과정을 겪고 있는지 다루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국제정치학 소개 과정들이 "국제정치학" 이론을 중심으로 국제관계 그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 본 수업에서는 역사학, 사회학, 국내정치 등 보다 넓은 시각에서 국제관계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Politics This course is designed to give prospective studen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 basic understanding of world politics in the 21st century. It analyzes the complexity of the issues and players of the 21st century world politics, examining various strategies for survival and prosperity.
216B.209 한국외교사 이 과목은 21세기 신문명의 모범국가가 될 수 있는 새로운 한반도의 역사를 이루어 나가기 위한 미래지향적 시각에서 전통적으로 중국적 세계질서속에서 삶을 살아 온 조선조가 19세기 중반 이래 유럽중심의 근대국제질서의 새로운 공간속에서 한반도의 근대국민국가의 형성을 위한 대외적 노력과 좌절을 삶의 총체사의 일부로서 추적하기 위한 것이다.
Diplomatic History of Korea This course examines the diplomatic history of traditional Korea. Specifically, it traces the difficulties resulting from the traditional Chinese-centered world order as well as Korea’s European rela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of the 19th century.
216B.211 국제관계사개설 국가 중심의 외교사적 분석을 지양하고 지역과 문명 중심의 국제관계사적 분석을 지향하며 근대 이후 유럽과 아시아 및 기타 지역을 중심으로 벌어진 국가간 관계의 역사를 다룬다.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course examines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modern Europe, Asia and other regions.
216B.214 중국외교정책론 이 과목은 중국외교정책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위한 개론적 과목으로 다음과 같이 나뉘어져있다. 첫째, 외교정책 일반이론의 개괄적 조명을 통해 중국외교정책의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해본다. 둘째, 앞에서의 틀을 사용하여 중국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하여 살펴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역사, 문화, 국내정치 및 체제적 요인들을 고려해본다. 셋째, 중국외교정책의 사적인 고찰로서 1949년 이후 현재까지의 변천과정을 개관해본다. 넷째, 중국외교정책을 군사/안보적 측면과 경제측면의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다섯째로는 중국과 주요국가들과의 관계를 조망해보는 것으로 중-미, 중-소/러, 중-일, 중-제3세계, 중국의 對대만, 한-중관계와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국과 중국사이에서의 한국의 딜레마에 대해 논의해본다.
Chinese Foreign Policy This course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 five elements: a survey of basic theories in foreign policy; discussions of key determinants of Chinese foreign policy; an examination of Chinese foreign policy since 1949; a comparison of security and economic issues in Chinese foreign policy; and overviews of bilateral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US, Russia, Japan, the Third World, Taiwan and South Korea.
216B.219A 세계지역연구개론 탈냉전 이후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화 현상이 창출하고 있는 지구적 조건은 우리에게 무한경쟁으로의 진입이라는 도전과 함께 전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다른 민족, 다른 국가와 함께 공존하며 평화·번영을 추구한다는 기조 하에 우리는 세계화의 도전을 새로운 도약의 발판으로 만들기 위해 세계 다양한 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역사 및 문화에 대하여 전문지식을 갖춘 국제인력을 개발해야 한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지역연구의 지속적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국제정치학 교육이 이론적인 분야에 대한 경도로 인하여 경험적인 연구의 기반이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지역경구라는 틀을 통해서 세계에 대한 이해에 도달하는 구성적 세계관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지역연구와 같은 경험적인 분야의 훈련과 구성적 세계관의 결합을 통해 이론과 현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의 배양이 요청된다. 따라서 이 강좌는, 첫째, 지역연구의 개념과 대상 그리고 역사와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연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둘째, 세계의 다양한 지역에 대한 연구방법을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하고, 셋째, 비교서평의 작성을 통하여 지역연구의 주요한 축이 되는 권력, 문화, 공간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고양하도록 한다.
Introduction to World Area Studies This course focuses on 1) the concepts, objects and history and issues of regional studie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regional studies, 2) examine multiple research methods that cover various regions around the globe, 3) encourage students to write comparative critical reviews to promote knowledge on power, culture and space, those which are the major axis of regional studies.
216B.221 국제정치사상 근대국제정치질서는 서양의 봉건제 이후 출현한 근대국가를 중심으로 하여 4~500년의 기간동안 역사적으로 형성된 독특한 정치질서였다. 이러한 질서는 단순히 근대국가들의 출현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나왔다기 보다는 그렇게 만들어진 질서를 개념적으로 파악하려는 장기간의 논쟁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런 뜻에서 국제정치사상은 근대국제질서의 주관적 측면이자 동시에 질서 그 자체의 한 부분을 이루는 것이었다. 본 국제정치사상의 강좌에서는 그 4~500년 간의 근대국제질서의 개념화 작업을 조망하는 것이다.
International Political Thought This course observes a five-century-long history of the modern international order. Modern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is a product of the emergence of nation states, often arising through strife, dispute, and conflict. This class will acceler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political thought.
216B.222 미국과 국제관계 이 과목은 학문적 탐구의 대상으로서 미국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에 대한 이해를 그 목적으로 한다.강의의 전반부에서는 21세기 미국의 세계전략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냉전기와 탈냉전기의 미국 대외정책의 변화를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고찰한다.후반부에서는 정책결정모델과 대통령과 관교기구, 군과 정보기관, 의회, 여론과 언론 등의 행위자를 중심으로 미국외교정책의 국가적, 사회적 결정요소를 살펴본 후, 21세기 미국과 동북아, 미국과 한반도의 문제를 다룰 것이다.
America in World Politics This course scrutinizes the US foreign policies leading today’s international politics. It covers the country’s history since the second World War and its policy-making process.
216B.223 국제정치경제론 21세기 세계정치경제는 어느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가? 과연 세계화 시대에 주권은 약화되었고 국가는 존재의미를 잃었는가?탈냉전시대에 국제협력은 가능하며 어떤 모습으로 전개될 것인가?본 강좌는 이러한 문제의식들을 가지고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간의 정치경제 관계를 중심으로 21세기 세계질서의 성격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강의 초반에는 국제정치경제 관계에 대한 중요 이론적 관점들을 살펴본 뒤 후반에서 2차대전 이후의 국제통화금융, 국제무역, 해외투자 등의 실질적 문제영역을 분석하고 이론적 맥락에서 조망한다.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How is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working? Is sovereignty weakening? Is the nation state losing its meaning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is course critically examines the world order of the 21st century focusing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among developed nations. It covers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d practical issues such as international trade, fiscal policy, and investment.
216B.224 안보론 본 강의는 전통적인 군사 및 경제안보에 대한 이론적, 실질적 접근과 함께 자원, 환경, 문화 등 현대적 의미의 새로운 안보개념에 대한 소개를 병행하고자 한다.
Security Studies With the emphasis on the traditional security concept, this class introduces new ‘security’ concept in terms of resources, environment, and culture.
216B.225 탈근대세계정치론 본 강의는 냉전 이후 더욱 복잡하게 변해가는 세계관계를 기존의 전통적인 국제정치이론을 넘어선 새로운 분석의 틀로 접근한다. 이를 위해 우선 탈근대 세계정치 이론들을 정리한 다음, 이를 통해 21세기의 세계질서를 새롭게 조망하고자 한다.
Postmodern World Politics This course tries to go beyond the tradition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taking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relations. It examines the issues in international politics in light of new postmodern international theories.
216B.226 한반도와 국제정치 본 강좌는 앞으로 국제정치를 전공하게 될 학생들이 한반도가 처한 국제정치의 환경과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수강생들이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닌 스스로의 문제제기와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탈(脫)고교화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수업은 강의와 토론으로 나뉘어지며 토론 시간은 수업조교의 지도하에 이루어진다.
The Korean Peninsula and International Politics  This course is designed as an introductory course for interim students who wish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course is conducted through lectures and small group discussions.
216B.227 외교정책론 이 과목은 외교정책의 결정과정과 수행의 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과 이론적 시각을 고찰한다. 개별정책결정자, 정책결정집단, 국내정치, 국가적 속성, 체제적 영향 등의 다양한 분석수준의 논의를 살펴보고, 그러한 분석의 통합 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의 개별적, 비교적 사례에의 적용 문제가 다루어질 것이다.
Foreign Policy Analysis This course examines conceptual frameworks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for the analysis of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and execution. Various levels of analysis, such as individual decision-maker, decision-making group, domestic politics, national attributes and systemic influences, will be discussed, 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those levels will be considered. Lastly, the course will deal with the matter of application to specific or comparative case studies.
216B.228 개발과 협력의 국제정치경제 왜 가난한 나라는 계속 가난하고 부유한 나라는 계속 부유한가?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위해 선진국이 할 수 있는 일과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개발도상국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협력방법은 무엇인가? 본 강의는 국제 개발과 협력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고 협력 프로그램 집행을 위한 분석적 틀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hy are poor countries always poor and rich countries always rich? What are effective ways to solve problems faced by developing countries? This course examines theoretical and analytical frameworks to understand and evaluate program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from the view of political economy.
216B.302 국제정치이론 이 과목은 한반도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제정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첫째, 기존의 국내외 국제정치학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현대국제정치의 기본구조와 역동성을 밝힌 다음에, 셋째, 이러한 현대국제정치의 역학관계를 우리들은 한반도에서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Aiming at a systematic examin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this course critically reviews existing studies of international politics, analyzing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international politics as well as discussing how Korea can take advantage of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politics surrounding the peninsula.
216B.326 국제기구론 본 강의는 오늘날 국제정치에서 점점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국제기구들에 대한 강의이다. 특히 담당교수의 강의와 함께 실제 해당 국제기구에서 실무를 담당했던 사람들의 특강을 같이 실시하여 국제기구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운영되는가를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고자 한다.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is class examin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hose importance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Especially, it opens special lectures presented by specialists from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216B.328A 정보세계정치론 본 교과목은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야기되는 국제정치의 변화 또는 연속성을 국제정치의 이론적 경험적 시각에서 검토한다. 관련 주제의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과학기술에 대한 개념적, 역사적, 학제간 논의를 다룰 것이며, 군사안보, 정치경제, 지식문화 등의 분야에서 제기되는 정보화시대 세계정치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볼 것이다.
The Global Politics of Information This class surveys the changing (or continuing) nature of world politic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from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o understand these issues in more thorough ways, this course relies on various conceptual, historical, and inter-disciplinary resources accumulated in the tradition of social science, and examines specific cases in the fields of military and security affairs, political economic affairs, and knowledge and cultural politics in international relations.
216B.335A 미국 정책결정과정의 이해 이 강좌에서는 미국식 민주주의가 정치제도와 정치과정을 통해 주요 이슈들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검토한다. 강의 전반부는 해당 주제에 관한 lecture 위주로, 후반부는 주제와 관련되는 "West Wing" episode를 청취한 후 토론팀의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본 강의는 미국정부와 정치에 관한 survey course로서 이론적인 면과 Hollywood version이나 실제적인 면을 조화시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Understanding Decision-Making Process in US Politics This course analyzes political system and political processes in US. The first half of the class features traditional lectures on a specific topic of the week. Meanwhile, the second half of the class consists of watching an episode from the "West Wing," pertinent to the topic for the week, followed by class discussion and interaction. Student participation in a 'debate team' is mandatory. Each debate team takes a turn in leading class discussion and interaction throughout the semester.
216B.336 한국외교정책론 이 과목은 학문적 탐구의 대상으로서 1948년 이후 한국외교정책의 전개과정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그 목적으로 한다. 강의의 내용으로는 먼저 강의의 중심이 되는 기본적 개념과 이론적 논의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한·미·일 관계를 중심으로 냉전기 한국외교의 전개과정을 살펴본 후 탈냉전기에 있어서 그 변화의 양상과 통상정책과 다자외교, 대북정책과 통일정책, 민주화와 외교정책 등의 문제를 다룰 것이다.
Korean Foreign Policy This course covers the development of Korean foreign policy since 1948. It will first review the basic concepts and theoretical arguments of the policy-making process. Next, it will examine the relations among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ld War era. It will then discuss new challenges in the post-Cold War era, such as multilateral diplomacy, trade policy, and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216B.337A 한국 정치·외교사상 본 교과목은 현대 한국 정치와 국제정치의 기반으로서의 ‘한국 근현대의 정치ㆍ외교사상’을 강의한다. 내용에 있어서는 주로 19세기 말에 등장한 개화사상, 민족주의로부터 사회주의, 민족주의 등의 사상이 다시 부활하여 전혀 새로운 지적 분위기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던 1980년대까지를 다룬다. 우선 첫 부분에서는 구한말의 개화사상, 위정척사사상, 동학 등의 갈등하는 사상의 형성과 변화를 강의하고, 다음은 일제시대에 일어난 민족주의의 변화와 새로 도입된 사회주의와 일제시대를 통한 사상의 변천을 강의한다. 다음으로는 해방 이후 현대의 사상을 강의한다. 우선 전쟁 이후 50년대의 지적 흐름을 다루고 나서 우리 현대사의 최대의 사건인 4·19와 5·16의 사상적 기반을 논의한다. 이어서 산업화와 저항의 시대로서의 60년대와 70년대의 사상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주에는 1980년 5·18 이후 새로운 정치 이념의 등장을 강의하고 학기를 마무리 할 것이다. 교과목의 교재로는 주로 일차자료를 읽고, 토의하고 강의하는 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문제는 우리 근현대에는 국제정치 이론적 저술들이 별로 많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론적 저술이 부족한 문제에 대해서는 문학 작품 등의 색다른 자료, 다른 종류에 의지하게 될 것이다.
Korean Political and Diplomatic Thought This course is on political and international thought as the basis of contemporary Korean politics and diplomacy. As a whole this course covers the period from the last decades of the nineteenth century when modern reformism and nationalism emerged until the 1980s when nationalism and socialism was resuscitated and new intellectual atmosphere was created. To begin with its first part deals with modern reformism, traditional isolationist thought and Donghak, the three conflicting thoughts of the last years of the Chosun state, and next it discusses transformations of nationalism and newly adopted socialism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third part discusses contemporary thought after Independence. This starts from the intellectual trend of the 1950s after the Korean War, the April Revolution of 1960, the Military Coup of 1961, and the 1960s and the 1970s,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and civil protest, and finally the last week will cover the 1980s following the Kwang-ju Uprising of 1980 that opened an entirely new era in Korean modern history. The major course material will consist of primary texts which we will read, discuss and on which lectures will be delivered when necessary. The problem is that we de not have a rich collection of theoretical writing in politics and international politics, written in modern era. In cases where we lack theoretical treatises, we have to rely on other of texts such as literary works.
216B.338A 러시아 국제관계론 본 강의는 1991년 사회주의 모국 소련의 붕괴한 이후 탈냉전의 변화에 따라 러시아가 경험한 체제전환과 외교정책의 대변동의 문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과거 공산주의 혁명이나 시장경제로의 이행이 수반하는 “거대한 체제전환”을 통과하면서도 변하지 않고 지속되어 온 “러시아 이념”과 “러시아성”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이해하며, 둘째, 새로운 혁명적 체제전환을 시도한 러시아의 복잡한 정치, 경제, 사회현상들과 정체성의 외적 발현으로서의 외교정책의 변동을 이해하고, 셋째, 탈냉전 이후 러시아가 경험한 국내정치 및 사회경제적 변동과 국제환경 변화에 따른 외교정책의 변화가 지니는 연관성이 무엇인가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Russia in World Politics This course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of the transformation and the upheaval of foreign policy experienced by of the Post-Soviet Russia since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First, it will review the unchanging "Russian Idea" and “Russianness” even through the "great transformation" accompanied by the transition to the post-communist society and market economy. Next, it will examine the changes of Russian foreign policy as the manifestation of the complex political, economic, social phenomena and identity of Russia. Then it will discuss the relevance of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Russian foreign policy as a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 between its domestic politics and international affairs.
216B.339 유라시아 국제관계론 이 강좌는 소련 해체 이후 '힘의 공백지'로 대두되었던 카프카스 및 중앙아시아 지역을 둘러싼 강대국들의 각축과 역내 국가들의 대응을 고찰해 봄으로써 유라시아에서 벌어지고 있는 새로운 국제관계의 본질과 그 동북아시아에 대한 함의를 추적하려는 목적으로 개설된다.
Eurasia in World Politics This course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dynamics and implic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Eurasia (Central Asia and Caucasus region)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focusing on the great powers rivalry in this region and the responses of regional newly independent states to the changing structure of regional politics.
216B.340 외교론 본 과목은 (1) 외교 개념의 파악과 함께 관련 제도의 변천을 역사 및 비교적인 시각에서 살펴보고, (2) 국가간의 협상 및 교섭에 대해 이론적인 이해를 높이고 실제 사례의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3) 외교일선에서 협상경험이 있는 실무자를 초청해 인식과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과목의 평가는 중간고사와 함께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구성하는 3-4인의 연구팀이 직접 하나의 협상 성공 또는 실패 사례를 선정, 왜 그러한 결과가 초래되었는가를 분석한 보고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Diplomacy This class examines the concept and history of diplomatic institutions, analyzing negotiations among states throughtheoretical approaches and case studies. Each group consists of 3-4 people who will choose and investigate a specific case in terms of its process and results.
216B.341 일본과 국제관계 본 강의는 현대일본외교정책의 성립과정과 구조, 그리고 그 성격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전후일본이 냉전과 탈냉전의 국제체제 속에서 미일관계를 축으로 어떠한 외교정책을 취해 왔고 그 성격은 어떠했으며 그 결정요인은 무엇이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현대 일본외교의 전체적인 흐름을 개관하고, 이어서 일본 외교정책의 과정과 결정요인, 국내적 제약조건, 외교스타일 등에 대해 검토한다. 그리고 일본 외교정책의 구체적인 모습을 쟁점별, 지역별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일본외교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기로 한다.
Japan in World Politics This course surveys the history, structure, and characters of modern Japanese foreign policy. It places special emphasis on postwar US-Japan relations. This class can roughly be divided into 4 areas, an overall introduction to Japanese foreign policy,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Japan’s domestic restraints and diplomatic trends as well as analysis and prognosis of modern Japanese foreign policy.
216B.342 비교 연방제와 연방국가 이 강좌는 연방제의 이론과 실재를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정부단계에서 구현되는 권력분배에 초점을 맞춰 다단계 정부체제의 정책적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강의 전반부는 연방주의와 연방제의 정치 및 경제적 측면에 대한 이론을 소개한다. 후반부에서는 미국, 캐나다,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독일, 스위스 등 7개 안정된 연방정부와 정치를 중심으로 헌법, 제도 그리고 과정을 비교한다.
Comparative Federalism and Federation This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federalism.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allocation of power across multiple tiers of government and its consequences for policy outcomes. We begin by building political and economic theories of federalism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emester.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term, we examine cases of advanced federal states with a special attention on constitutional structure and/or political institutions and processes in US, Canada, Australia, Austria, Belgium, Germany, and Switzerland.
216B.343 환경과 세계정치 이 과목은 지구환경의 악화에 따른 국제분쟁과 국제협력 문제의 세계정치학적 측면을 검토한다. 특히 환경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정부 간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국적기업이나 비정부기구들이 형성하는 초국적 네트워크의 역할에 주목한다.
Environments and Global Politics This class examines the global and political aspects of international disput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caused by the degradation of glob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is class pays special attention to various solutions on environmental problems proposed by inter-governmental networks and other transnational network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non-governmental actors.
216B.345 중동/아프리카 지역연구 에너지, 자원, 이슬람 문명, 지정학적 중요성, 테러 등으로 중요성이 급증하고 있는 중동과 아프리카의 지역정치를 연구한다. 중동·아프리카 지역 내 국제관계는 물론, 개별 국가들의 대내외정책을 연구함으로써 이들 지역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세계정치에서 이들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을 공부하며, 한국과 이들 지역 관계의 현황 및 향후 정책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강의이다.
Middle East and African Studies This course explores the Middle East and African politics and society, with special focuses on energy, natural resources, Islamic civilizations, geopolitical situations, and terrorism. International relations within these regions, and domestic/foreign policies of each state will also be the subject of the course. The relationship of these areas and countries with South Korea will be another interests in this course.
216B.347 금융과 발전의 국제정치경제 금융위기는 왜 발생하며 통화제도를 둘러싼 국가간 갈등의 원인은 무엇인가? 자본의 국제적 흐름은 국가에 의해 통제할 수 없는가? 금융이 세계화된 오늘날 국가는 경제정책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가? 한국의 경제성장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본 수업은 위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해 국제통화제도의 역사, 금융산업의 발전, 그리고 경제발전에서 금융의 역할에 대한 국제정치경제의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경험자료에 기반한 연구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of Finance and Development Why do we have financial crises? Why do states have conflicting interests over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Do states have control over the capital flow in this globalized world? Do states have autonomy in economic policy making? What explained South Korea's rapid economic growth?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course surveys literature on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industry, and the role of finance in economic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216B.415 국제문화론 본 강의는 국제정치학의 새로운 분야로서 이른바 보이지 않는 국제정치의 요소라 할 수 있는 문화, 이데올로기, 지식,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접근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의는 고전적인 민족주의, 발전이론에서 출발하여 제국주의론, 이데올로기, 지식, 담론의 문제 등을 토론할 것이다.
Culture and Ideology in International This course examines new factors in international relations such as culture, ideology, and communication.
216B.420 국제정치연습 본 수업은 외교학전공 학생들의 학부졸업논문 발표수업으로서 매주 학생들의 논문 계획서 발표 및 중간발표, 최종발표 등으로 진행된다.
Seminar in International Politics This course is for students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major. Students will write, present, and submit a graduation thesis.
216B.423 동아시아국제정치론 본 강의는 한반도가 속해있는, 중국, 일본 등이 형성하는 동아시아에서의 국제정치의 현실은 무엇이고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성은 무엇인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This course reviews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Northeast Asian nation states. It discusses their pending issues and challenges, as well as possible solutions.
216B.426A 국제정치의 주요쟁점 이 강의는 최근 국제·경제적 여건의 변화가 미치는 국내적 영향을 배경으로 하면서, 국제정치, 경제구조가 국내 정치,경제,사회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시대적 상황을 통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자유주의, 전쟁, 식민주의, 냉전, 탈냉전의 시대와 주제를 정하고 각 시대의 주요 국가와 사건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의 국내적 영향을 살펴 볼 것이다. 특히 아시아 외환 위기 이후 세계화가 국내에 미치는 역할에 주목한다.
Issu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course examines the impact of international politics on domestic society.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his class aims to overview how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affects domestic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in various periods. Major topics include the impact of colonialism, war, the cold war, and changes in international economies. In particular, the impact of globalization towards domestic society after asian financial crisis will be mainly covered.
216B.427 동남아의 정치와 외교 이 과목의 목적은 세계정치에서 동남아 국가(아세안)의 정치와 외교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이해를 높이는 데 있다. 아세안은 동아시아 정치와 국제관계에서 중요한 지역일 뿐 아니라 아세안 지역주의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아세안 국가들의 정치와 외교가 역내 관계와 역외 관계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Politics and Foreign Policies in Southeast Asia This course aims at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politics and foreign policie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ASEAN reg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ast Asian economic development and regionalism bearing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Korean diplomacy and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course explores how ASEAN states' politics and foreign policies work in intra-regional and inter-regional relations.
216B.428 동아시아 국제정치사상론 동아시아인들은 국제사회와 국제관계, 전쟁과 평화, 인간과 국가와 세계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져 왔을까? 동아시아인들의 국제정치적 사유의 성립 조건과 특질은 무엇인가? 이 수업에서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외교정책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동아시아 국제정치사상에 관한 기본지식을 제공한다.
International Thought in East Asia What kind of thought have East Asian thinkers showed about international society and relations, war and peace, and man, the state and the world? What conditions have defined the nature of East Asian international political thinking? This course provides basic knowledge about East Asian thinking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East Asian countries' foreign relations and policy.
216B.429 국제정치학의 길잡이 본 수업은 국제정치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국제정치학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국제정치학의 영역과 주요쟁점 들에 대해 공부할 것이며 국제정치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Guide to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course aims to introduce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Students will learn areas and issu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Students will survey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roughout the course.
M1321.00200 현대국제정치사상 본 과목은 정치사상적 맥락에서 현대국제정치의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은 현대정치사상의 중심주제 (예컨대, 정의, 민주주의, 인권 등)가 어떻게 국제정치적 쟁점들과 맞닿아 있는가를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구체적인 사례의 적용을 통해서 국제정치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시각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본 과목이 다룰 구체적인 주제로는 국제정치에서의 정의, 민주주의와 주권적 경계, 인권침해와 국제적 개입, 탈세속화와 테러, 국제적 불평등과 빈곤의 해결, 글로벌 이주와 시민권 등을 포함할 것이다.
Contemporary International Political Thought This course aims at examining contemporary international issues in the context of political thought. Throughout the semester students ar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thought and international issues, and to develop deeper and wider international perspectives by applying their theoretical understanding to the current international issues. The course deals with the following topics: global justice, democracy and sovereignty of border, human right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desecularization and terrorism, international inequality and world poverty, and global migration and citizenship.
M1321.000800 글로벌 리더십 연습 본 수업은 정치외교학부 학생들에게 사회과학, 특히 정치외교학 논문작성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의 자율 연구와 교수들의 밀착 지도를 통한 개별연구, 그룹연구의 학부세미나를 통해 사회과학적 글쓰기, 연구설계방법, 그리고 좋은 논문의 구성요소와 특징에 대해 학습하고, 직접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본 수업은 학생들이 자신만의 연구주제를 선정하고 발전시켜 졸업논문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주제별 소규모 세미나 강좌로 나누어 진행한다. 또한 주제와 연계하여 필드리서치, 중간발표, 기말발표를 진행하고 우수과제들을 모아서 시상 및 출판을 할 것이다.
Seminar in Global Leadership The aim of the course is to help students learn how to write social science research papers with a focus on topics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small group undergraduate seminar, professors and students will discuss scientific writing skills, research design, and components of good research papers by examining important works in the field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lso the course expects students to discover and develop their own topics for a thesis during the course.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small group seminars will be administered according to specific topic. Each seminar groups will have field research, mid-term presentation, final presentation. Excellent papers will be awarded and will be given a chance to publish.
M1321.000900 글로벌 냉전의 이해 냉전의 종언 이후 냉전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발해 졌으며, 단순히 냉전을 미국과 소련의 이념적/군사적 대립의 장으로 보는 것을 넘어서서 다양한 방법론과 의제, 그리고 분석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강좌는 이러한 학문적 추세를 반영하여 글로벌 냉전의 주제를 학제적으로 이해하고, 지역적 수준에서의 냉전을 비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강의는 냉전 연구의 방법론을 살펴보고 각 지역에서의 냉전의 특성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며, 담당교수 이외에 국내외 관련학자들의 초빙 강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Understanding the Global Cold Wa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field of Cold War Studies has grown to include a variety of methodologies, agendas and levels of analysis that did not exist in prior research on the event as an ideological/strategic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and the USSR.  In recognition of this, this course tries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the 'Global Cold War'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examines regional Cold War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n added feature of this course is that lectures are not only be conducted by two professors, but also by other scholars from both Korea and abroad.
M1321.001100 국제법과 국제관계 근대 국제관계에서 국제법의 본질과 역할, 국제정치와의 관계를 연구한다. 특히 21세기 국제정치가 다양한 분야에서 제도화됨에 따라 국제법의 역할과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현대 국제관계에서 국제법이 차지하는 역할과 기능을 공부할 것이다.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nternational Law This course explores the nature,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of international law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Especially with the rising importance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course focuses on the modern role of international law in the 21st century.
M1321.001200 유럽지역연구 이 강좌는 유럽의 지역통합이론과 실제를 네 부분으로 나누어 검토한다. 1) 지역통합의 논리에 관한 정치학적 접근과 경제학적 접근방식을 대조한다. 2) 현 EU회원국들의 성향에 관해 비교한다. 3) 유럽통합을 분석하는 이론적 접근법을 검토한다. 4) 유럽 내 지역통합의 결정체인 유럽연합 내 정치적 갈등이 시민, 정당, 집단을 통해 어떻게 표출되는지 살펴본다.
Europe in World Politics To examine theories and practices of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we will divide this course into 4 parts: 1) contrast political and economic approaches to regional integration, 2) compare the member states of EU, 3) review European integration theories, and 4) discuss models of political conflict in the EU among citizens, political parties, and groups.
M1321.001400 현대동북아국제정치경제 국제정치경제적 제약과 기회 속에서 고도성장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한국·중국·일본의 동북아 지역은 현재 국제정치경제의 구조를 창출하는 주요 행위자로 발전하여 왔다. 현재 전세계적 국제정치경제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동북아 지역에서 최근 일어나고 있는 국제정치경제적 동학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 강좌의 주요 학습 내용은 1990년대 이후 생산, 무역, 통화·금융, 투자, 자원, 에너지 등 국제정치경제의 각 영역에서 동북아를 중심으로 진전되어 온 갈등과 협력이다. 외교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여, 현대 동북아 지역에서의 국제정치경제적 변화를 보다 밀도 있게 검토하고 이를 국제정치경제이론과 접목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of the Contemporary Northeast Asia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experiencing rapid economic growth under international constraints and opportunities, had currently become significant architects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structure itself. In order to understand global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dynamism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This course covers up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cooperation and conflicts in production, trade, finance, investment, resources, and energy after the 1990s. This course targets students of International Relations Major,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o synthesiz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theories and their realiti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